[카테고리:] 리뷰
지난해 방영된 KBS의 대하드라마 <태종 이방원>은 그 가능성과 아쉬움을 동시에 보여줬다. 주상욱의 이방원을 메인으로 내세우며 신선함과 여전한 완성도를 자랑했지만, 2014년
역사의 아픔은 아이러니 하게도 문화의 자양분이 되어 꽃을 피우는 역할을 한다. 제1,2차 세계대전, 식민지 전쟁, 대공황, 근래의 코로나 팬데믹까지 인류는
OTT의 등장 이후 국내 문화시장의 달라진 모습이라 한다면 범람하는 콘텐츠 사이에서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한 자극성의 극대화일 것이다. 장르적으로 더 맵고
2023년 MCU는 스크린에서 일희일비의 시간을 보냈다. 페이즈5의 시작을 알린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가 흥행과 비평 모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뉴 노멀(New Normal)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표준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전쟁, 경제위기, 재난상황 등 인류의 모습을 바꿀만한 대사건
우리나라의 연간 정신질환 환자 수는 4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의하면 인구 1천 명 당 정신과 의사
10월 두 명의 일본 거장이 한국 극장가를 찾았다. 스튜디오 지브리를 이끌며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등 애니메이션 역사에
2022년 <너와 나의 경찰수업>을 시작으로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를 선보인 디즈니+는 차가운 겨울과도 같은 동면의 시간을 경험해야 했다. 넷플릭스의 한국 시장
2000년대 한국문화계는 지금과 같은 한류열풍의 초석을 다지는 시기였다. 당시 드라마에 <겨울연가>, <풀하우스>, 가요계에 동방신기와 보아, 비가 한류스타로 인기를 견인했다면 영화계에는
2010년 <익스펜더블>의 등장은 액션 마니아들의 열광적인 환호를 받았다. 실베스터 스탤론을 필두로 제이슨 스타뎀, 이연걸, 아놀드 슈워제네거, 브루스 윌리스, 돌프 룬드그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