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Viewed

Categories

[대외비] 재미도 매력도 관객에게 ‘대외비’면 어쩌라고

출처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3월 한국영화 기대작으로 ‘대외비’가 가장 크게 언급되는 이유는 분명하다. 범죄 느와르 장르에서 매력을 보여줄 수 있는 조진웅-이성민-김무열이 주연 라인업을 구성했고, ‘악인전’의 이원태 감독이 메가폰을 쥐었다. ‘악인전’과 같은 피카레스크 성향을 지닌 세 명의 주인공이 서로 먹고 먹히는 관계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높은 오락성을 선보인 전편만큼의 만족도를 자아낼 것이란 기대를 모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제목인 ‘대외비’가 혹시 이 영화의 재미와 매력을 관객들에게 ‘대외비’로 감추라는 의미인가 싶을 만큼 아쉬움이 컸다. 세 배우가 찰떡 같이 캐릭터를 맡았고 이원태 감독이 잘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졌던 이야기를 연출했음에도 그 만족도가 크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떠올랐던 건 그의 이전 작품인 ‘대장 김창수’와 ‘악인전’에서 마동석의 존재감이었다.

먼저 ‘대외비’의 줄거리를 살펴보도록 하자. 영화는 1992년 부산을 배경으로 한다. 만년 국회의원 후보 해용은 지역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놓고 기회를 노린다. 정치판을 뒤흔드는 권력 실세 순태는 해웅에게 기회를 허락하지 않으며 지역구 공천에서 탈락을 시킨다. 이제 정치인생이 끝났다 여긴 해웅은 부산 해운대 지역 재개발 계획이 담긴 대외비 문서를 입수하게 된다. 이 문서를 바탕으로 그는 무소속 후보로 출마를 결심한다.

출처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정치에는 돈이 필요하기 마련이다. 행동파 조폭 필도와 결탁한 해웅은 그를 통해 정사장을 소개받으며 선거운동에 탄력을 받는다. 다만 해웅의 국회입성을 허락하지 않는 순태는 대외비 문서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면서 작전을 펼친다. 이 선거운동 때만 하더라도 극적인 흥미는 물론 해웅-순태-필도에 더해 정사장까지, 캐릭터 사이의 관계가 스노우볼을 형성해 야생에 가까운 정치판의 잔혹한 모습을 폭발력 있게 보여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강남 1970’ ‘아수라’처럼 부동산 또는 정치권과 관련된 범죄 느와르를 강한 에너지로 선보일 것이란 기대는 클리셰를 통해 철저하게 무너진다. 범죄 느와르 장르에는 정해진 공식이란 게 있다. 처음 장르는 접하는 이들에게는 비루하고 잔혹해 충격으로 다가오지만, 장르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쾌감으로 다가오는 암투와 배신 그리고 폭력이 그것이다. 이 익숙함은 강한 에너지를 통해 익숙하지만 독한 소주의 맛처럼 느껴진다.

‘대외비’는 이를 위해 완벽한 준비를 했지만 클리셰에 갇혀 버린다. 클리셰가 강하다 보니 리듬감이 익숙해 쾌감을 자아낼 만한 에너지를 분출해내지 못한다. 비슷한 장르의 작품들이 범작으로 남아도 인상적인 대사나 장면 하나 정도는 뽑아내는 것과 별개로 초반부와 클라이맥스의 해웅과 순태의 대립 장면을 제외하면 그럴싸한 인상을 남기지 못한다. 이런 연출적인 문제는 캐릭터의 매력에서도 비롯된다.

출처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스노우볼처럼 불어날 것이라 여겼던 캐릭터 간의 케미는 눈싸움처럼 끝난다. 조그마한 눈덩이를 서로 던지는 개인플레이의 인상이 짙다. 배우들의 경우 몸에 딱 맞는 옷을 입은 게 오히려 아쉬움으로 다가온다. 핏은 좋지만 그동안 보여준 캐릭터에서 +나 ‘대외비’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개성이 없다 보니 익숙하지만 만족감은 높지 않은 프랜차이즈 메뉴를 먹는 기분이다. 이런 지점들은 ‘악인전’의 이원태 보다 ‘대장 김창수’ 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만든다.

‘대장 김창수’는 무색무취 전기영화의 전형을 보여줬다. 조진웅을 통한 캐릭터 표현은 인상적이었지만 흥미를 살릴 만한 요소들을 살리지 못하며 아쉬운 작품으로 남았다. 이런 점을 생각해 볼 때 ‘악인전’에서의 개성은 마동석이란 변수가 크게 작용했다는 생각도 든다. 마동석은 자신이 활개칠 수 있는 판만 깔아주면 신나게 놀 줄 아는 배우다. 마동석이 유기적인 역할을 해주면서 캐릭터 사이의 케미가 ‘악인전’ 때는 살아나지 않았나 싶다.

‘대외비’는 좋은 재료와 인정받은 셰프의 요리에서 편의점 맛이 느껴지는 아쉬운 작품이다. 제목이 주는 소재의 재미가 확실했음에도 이를 바탕으로 흥미로운 이야기를 구성하기 보다는 장르적인 클리셰에 집중했다. 배우들의 매력이 모여 더 큰 원기옥을 만드는 데에도 실패했다. 만나면 지루하지는 않지만 딱히 시간을 내서 만날 만큼 흥미롭지 않은 인물과 2시간 동안 카페에 앉아있는 기분의 영화라 할 수 있다.

現 키노라이츠 편집장
前 씨네리와인드 편집장
前 루나글로벌스타 기자

    Leave Your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