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Viewed

Categories

[더 넌2] 돌아온 수녀귀신이 남긴 여전한 아쉬움과 기대감

2013년 <컨저링>의 흥행은 공포영화의 패러다임 자체를 뒤집는 혁신에 가까웠다. 슬래셔, 스플래터, 좀비가 주류를 이루던 공포영화의 흐름을 오컬트 엑소시즘으로 바꾸어 놨다. 이 변화가 이뤄낸 건 성과는 공포장르의 대중화다. 피칠갑으로 대표되는 잔혹함이 공포를 주었던 서양호러는 <컨저링>의 흥행 이후 오컬트 엑소시즘을 바탕으로 더 많은 관객들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이 ‘컨저링 유니버스’에서 핵심이 될 것이라 여겼던 캐릭터가 수녀귀신 발락이다.

발락은 ‘호러판 어벤져스’라 할 수 있는 컨저링 유니버스에서 가장 무섭기로 소문난 귀신이다. 때문에 발락의 솔로무비 <더 넌>은 큰 기대를 모았다.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비평에 있어 부정적인 평을 받으며 연출력만 좋을 뿐 공포가 느껴지지 않는 영화라는, 공포영화로는 최악의 평을 받아야 했다. 이런 점 때문일까. <더 넌2>는 전편보다 무서운 공포영화라는 평을 받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이를 이뤄냈다. 다만 이 과정에서 한 가지를 간과했다.

이 작품은 전작 <더 넌>에서 이어지는 스토리를 선보인다. 루마니아에서 퇴치했다 여겼던 수녀귀신 발락은 프랑스에 나타나 살인을 저지른다. 바티칸은 이전에 임무를 수행했던 버크 신부가 콜레라로 죽자 동행했던 아이린 수녀한테 임무를 맡긴다. 전편의 주역이었던 버크를 배제하고 아이린을 주역으로 내세운 이유는 로맨스에 중점을 둔 스토리 라인의 강화를 위해서다. 이 점은 가족 중심의 컨저링 유니버스에서 <더 넌> 시리즈가 지닌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발락에 의해 위기에 처했던 아이린은 프렌치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다. 이때 발락은 프렌치의 몸 안에 들어갔고, 그를 숙주삼아 살인을 저지른다. 감정적으로 프렌치와 엮인 아이린이기에 구마의식 중 숙주가 죽을 수도 있다는 점은 내면의 죄책감을 자극하는 이유가 된다.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악령에게 흔들리는 신부의 모습을 그렸던 <엑소시스트>처럼 엑소시즘 작품의 클래식한 공식을 스토리의 중심으로 삼는다.

전편이 받았던 혹평 때문인지 <더 넌2>는 공포를 두 배로 보여주고자 아이린과 프렌치의 서사를 교차로 전개한다. 아이린의 서사가 발락이 프렌치의 몸 속에 있음을 알게 되고 그를 찾는 과정에서 겪는 공포라면, 프렌치의 서사는 기숙학교에서 펼쳐지는 기괴한 현상이다. 수녀인 아이린과 사랑을 이룰 수 없었던 프렌치는 이곳에서 교사 케이트와 새로운 사랑을 꿈꾼다. 여기에 학생 소피와 절친한 사이가 되면서 마치 가족 같은 관계가 된다.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는 말처럼, 악령은 온전한 평온을 누릴 수 없는 개인의 영혼을 노린다. 소피는 기숙학교 아이들한테 괴롭힘을 당하고, 잡부인 프렌치는 도움을 줄 수 없다. 이런 점은 프렌치의 몸 안에 발락이 있는 불안을 일상에서의 사건을 통해 표현한다. 그리고 아이들이 소피를 출입이 금지된 옛 예배당에 가둔 날, 이 발락의 공포는 본격적으로 기숙학교를 집어삼킨다.

전편의 문제점을 피드백 한 듯, 작품은 공포를 유발해내는 장면 하나하나에 심혈을 기울인다. 도입부 아이에게 포도주를 가져오라고 시킨 신부가 예배당에서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처럼 타죽는 장면, 야외책장의 잡지책이 한 장씩 넘어가다 발락의 형상을 만드는 장면, 불 꺼진 기숙학교 원장 방 안에서 바퀴벌레가 튀어나오는 장면 등은 컨저링 유니버스 전체를 통틀어 역대급이라 할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연출적인 기교를 자아낸다.

다만 기교에 함몰되어 질감을 살려야 하는 다른 요소들에 소홀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매 순간마다 등골이 서늘한 감정을 주어야 한다는 강박을 느꼈는지 장면마다 공포를 유발하고자 한다. 때문에 서사와 감정을 갖춘 공포영화를 본 적이 아닌 잔상만 남는 공포영상을 본 기분이다. 특히 아이린의 서사가 중요한 한 축을 이룸에도 클라이맥스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급전개로 오직 장면에만 집중한 한계를 보여준다.

때문에 <더 넌>과 비교하자면 더 무섭지만, 그간 컨저링 유니버스가 보여준 호러월드에 어울리는 공포를 갖추었나 하는 점에는 의문이 남는다. 다만 한 가지 중요한 가능성을 남기며 이제는 기대감이 많이 사라진 컨저링 유니버스의 불씨를 살리는데 성공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바로 무서운 장면을 다수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는 점이다. 컨저링 유니버스의 성공배경에는 ‘무서운 장면 없이 무서운 영화’라는 잔인한 피칠갑 장면 없이 공포를 주는 방식이 자리 잡고 있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클리셰에서 벗어난 장면을 다수 창조해 내며 컨저링 유니버스가 지닌 존재가치를 보여줬다. 여기에 세계관 연결을 예고하는 쿠키영상을 통해 마니아층의 열광적인 반응과 프랜차이즈를 더욱 공고히 다지는 두 마리를 토끼를 모두 잡는데 성공했다. 여기에 완벽하지는 않지만 전편이 받았던 비판을 최소화 하는 피드백 반영에 충실했다는 점은 컨저링 유니버스 그리고 <더 넌> 시리즈에 대한 기대를 계속 품게 만드는 이유라 할 수 있다.

現 키노라이츠 편집장
前 씨네리와인드 편집장
前 루나글로벌스타 기자

    Leave Your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