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Viewed

Categories

[거미집] 와라, 영화라는 욕망의 거미줄!

칸영화제 남우주연상, 대한민국 3대 영화제 남우주연상 올킬, 보관문화훈장 수여, 누적 관객 수 1억 명 돌파, 뉴욕타임스 선정 21세기 가장 위대한 배우 25인 등등 송강호는 명실상부 자타공인 대한민국 최고의 배우라 할 수 있다. 봉준호, 박찬욱, 이창동 등 세계에서 인정받는 대한민국 거장과 모두 함께 한 송강호와 가장 좋은 호흡을 선보인 감독을 뽑으라면 김지운을 들 수 있다.

한국 블랙코미디 장르에서 지금도 회자되는 <조용한 가족>, 송강호가 가장 애착을 가진 작품으로 뽑은 <반칙왕>, 김치 웨스턴이라는 장르를 창조해낸 <놈놈놈>, 할리우드가 제작·투자한 한국영화 최고 흥행작 <밀정>까지 호흡을 맞출 때마다 성공역사를 이어온 배우 송강호-감독 김지운이다. <거미집>은 이 두 사람이 다섯 번째로 호흡을 맞춘 영화로 올 추석 기대작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작품은 검열과 통제로 인해 한국영화의 암흑기로 불리는 70년대를 배경으로 했다. 이 암울한 시대의 주인공은 김감독이다. 제목처럼 영화는 영화 안의 영화라는 두 개의 거미집을 지어 관객들의 시선을 붙잡는다. 첫 번째 거미집의 감독이 김감독, 김지운이라면 두 번째 감독은 송강호가 연기하는 또 다른 김감독이다. 이 구성은 김지운이 자신의 페르소나인 송강호에게 완전히 본인을 투영한 듯한 감정을 느끼게 만든다.

김감독은 데뷔작에서 잠깐 반짝였을 뿐, 시대의 검열에 맞춰 통속극을 찍는 그저그런 감독이다. 신작 <거미집> 촬영을 끝낸 그는 갑작스런 강박에 시달린다. 머릿속에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며 결말을 바꾸면 걸작이 탄생할 것이란 생각에 사로잡힌다. 이 강박과도 같은 집착에 빠진 김감독은 영화사 대표 몰래 배우와 스태프들을 모아 이틀에 걸쳐 재촬영을 시작한다.

이 재촬영 과정은 <브로드웨이를 쏴라>,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등 집단이 참여하는 예술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담은 소동극을 연상시킨다. 영화에 미친 김감독, 그의 열혈한 추종자 신미도, 사랑이 너무 많은 톱스타 강호세, 떠오르는 스타 한유림 등 개성 강한 캐릭터들 사이의 티키타카 구강액션을 통해 재미를 뽑아낸다. 그 핵심은 김지운 감독의 유머감각을 가장 맛깔나게 표현해내는 김감독, 송강호다.

이 개성 강한 7명의 캐릭터의 진면목을 모두 보여주기 위해 선택한 무대는 앞서 언급한 두 개의 거미집이다. 거미집을 제작하는 과정을 담은 김지운의 ‘거미집’은 컬러, 이 제작된 김감독의 영화 ‘거미집’은 흑백으로 담아내며 캐릭터가 활약할 수 있는 공간을 분리한다. 컬러에서는 개성이 강하지 않았던 베테랑 배우 이민자와 노장 배우 오여사 캐릭터는 흑백에서 대립하는 며느리와 시어머니 관계로 막장 통속극 캐릭터의 매력을 선보인다.

블랙코미디가 가미된 김지운표 유머가 재미를 주는 코드라면 감정을 자극하는 건 우리가 영화를 사랑하는 이유다. 우여곡절이 반복되는 현장 속에서 촬영은 매번 불안이 수반된다. 김감독의 ‘거미집’은 바뀐 시나리오와 스케줄에 쫓기는 배우들, 여기에 검열 문제까지 겹치며 더 큰 우여곡절이 반복된다. 그럼에도 촬영을 멈출 수 없는 건 그 완성된 장면이 담아낸 경이로운 순간 때문이다. 이 감탄이 흑백과 컬러를 한 필름에 담은 이유다.

이 지점까지 관객을 이끌고자 김지운 감독은 스튜디오 안에 인물들을 가둔다. 이 안에서 캐릭터들은 빠져나올 수 없는 욕망의 거미집을 완성한다. 불로 대표되는 열정, 계단이 상징하는 상승에 대한 열망 등 장치를 통해 클라이맥스로 치닫는 감정을 극렬하게 보여주고자 한다. 김감독과 배우들의 심리적 압박과 컬러와 흑백 두 영화가 함께 이 클라이맥스를 향하며 시각·플롯·감정을 극한의 몰입까지 끌어올린다.

<거미집>은 데이미언 셔젤의 <바빌론>, 나카타 히데오의 <라스트 씬>, 코엔 형제의 <헤일, 시저!> 등 영화제작 또는 촬영의 현실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이 영화들의 공통점은 우리가 바라보는 스크린 이면에는 마냥 밝지만은 않은 소동극이 끊임없이 벌어진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영화라는 불안이 영혼을 잠식해 버린 이들이 있기에 우리가 사랑하는 영화가 탄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어쩌면 모든 감독들의 자전적일 수 있는 이야기를 담아낸 두 김감독의 연출에 박수를 치게 될 것이다.

現 키노라이츠 편집장
前 씨네리와인드 편집장
前 루나글로벌스타 기자

    Leave Your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