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Viewed

Categories

[괴물] 진짜 ‘괴물’은 누구일까? 답을 찾고 있는 당신에게 추천하고 싶은 영화

올해 칸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한 영화 <괴물>은 일본 문화계를 대표하는 거장 3인방이 뭉치며 마스터피스의 초석을 다진 작품이다. <어느 가족>,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등을 통해 현재 일본을 대표하는 거장에 올라선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연출을, 드라마 <마더>로 유명한 다양한 분야에서 이름을 알린 작가 사카모토 유지가 각본을 맡았다. 여기에 최근 생을 마감한 음악계의 거목 사카모토 류이치가 참여하며 최강이라 할 수 있는 라인업을 구축했다.

<괴물>은 다른 시점의 세 가지 파트를 통해 ‘진짜 괴물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영화다. 그 시작은 싱글맘 사오리다. 사오리는 초등학생 아들 미나토의 변화에 의문을 품고 추궁한다. 그리고 담임교사 호리가 아이에게 한 돼지의 뇌를 가졌다고 한 폭언과 얼굴을 손으로 치는 등 폭력도 행했다는 사실을 듣게 된다. 사오리는 학교에 항의하지만 교장 후시미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며 실망한다. 이에 일을 키우며 호리가 직접 사과하게 만든다.

이 파트에서 사오리를 통해 강조하는 건 선, 어떠한 규격이다. 규격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면 사회가 정한 틀 때문에 겪는 외부가 가하는 억압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영화는 반대로 이 규격에 자신이 맞춰지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생겨나는 개인의 분노를 통해 전환을 시도한다. 자신도 미나토처럼 싱글맘 아래에서 자랐다는 호리의 말이 끝나기 전 화를 내는 사오리의 모습은 그 집착을 보여준다.

사회가 정한 규격에 내 아이가 맞지 않기에 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두려움과 공포, 그리고 분노가 그 마음에 있음을 사오리의 시선을 통해 강조한다. 사오리가 선에 맞춰 주차를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나 미나토와의 대화는 이런 심리상태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더해서 세탁 일을 하는 사오리가 다림질을 하는 장면은 일종의 맥거핀으로 작용한다. 지금 사오리는 구겨진 미나토를 펴고자 하고, 미나토를 구긴 호리는 괴물이라는 생각을 관객에게 심어준다.

이 생각은 파트2, 호리의 시점에서 바뀌게 된다. 호리를 상징하는 요소는 그의 방 안에 담겨있다. 바닥에 누워있는 금붕어는 호리가 보통 사람들과 다른 독특한 면이 있다는 점을, 그의 취미가 책에서 틀린 글자를 찾아 출판사에 연락하는 것이라는 점은 문제가 생기면 해결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문제는 특별함으로 볼 수 있는 호리의 기질이 그가 교실에서 겪은 문제에서는 최악의 상성으로 작용했다는 점이다.

호리는 미나토가 반에서 부린 난동을 제압하고 요리를 괴롭히는 정황이 포착되자 이를 바로잡고자 했다. 이것이 미나토를 학대한 것으로 오해를 사면서 그는 위기에 몰린다. 호리에게 항변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상황의 이유는 일본의 낮은 교권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가 겪는 교권 문제를 일본은 이전부터 겪어왔다. 교권이 낮아지면 교사들은 의욕을 잃게 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에게 전가된다. 후시미는 호리의 항변을 듣고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행정상의 문제를 피하고자 사과를 종용한다.

이 시점에서 호리의 눈에는 학부모 사오리와 자신의 편에 서주지 않은 동료 교사들, 그리고 미나토와 요리를 비롯한 아이들이 모두 괴물로 보일 것이다. 그렇다면 작품은 <케빈에 관하여>처럼 미나토를 괴물로 태어난 아이로 묘사하기 위해 파트를 나눈 것일까? 세 번째 파트에서 미나토를 주인공으로 요리와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영화는 앞서 던진 질문에 대한 답을 한다. 세상에는 괴물이 존재하는 게 아니라, 누군가를 괴물로 바라보게 만드는 시점과 편견이 존재할 뿐이라고.

이 핵심적인 메시지는 영화의 오프닝인 화재 장면에 잘 담겨 있다. 이 장면은 각 파트에 따라 그 바라보는 시점이 달라진다. 사오리 파트에서는 건물이 멀리서 불타는 걸 바라보는 구경, 호리 파트에서는 그가 불을 지른 것이 아니냐는 음침한 오해, 미나토 파트에서는 그 진실과 함께 아이들의 슬픈 비밀이 드러난다. 화재가 벌어진 사실은 하나인데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는 점을 작품은 장면과 구성, 그리고 주제의식을 통해 전한다.

<괴물>은 본질적으로 교육을 사회문제로 바라보고 있는 작품이다. 사회에서는 문제에 대한 원인을 찾기 보다는 범인을 만드는데 주력한다. 그리고 그 범인을 괴물로 포장하고자 한다. 누군가를 괴물로 여기기에 공격하고 다투며 이 과정에서 희생자가 발생한다. 이 지점에서 눈 여겨 볼 캐릭터가 후시미다. 두 개의 파트에서 후시미는 교육자와 거리가 있는 무책임한 모습으로 사오리와 호리에게 괴물처럼 인식된다.

이런 인식으로 인해 후시미에게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손녀의 죽음이 사고가 아닌 그녀의 잘못일 수 있다는 풍문은 점점 사실처럼 굳어져 간다. 후시미의 문제에서 중요한 건 그 사건의 범인이 누구인가가 아니라 이 사건이 그녀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나이다. 후시미의 극적인 변화는 어른들은 몰랐던 미나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열쇠가 된다. 미나토와 요리가 함께 있는 주된 공간인 폐철도와 탈선한 듯한 열차는 현재의 교육환경을 상징한다.

문제가 있다는 걸 알지만 해결할 의지도, 방법도 없기에 교실이라는 죽은 공간을 이렇게 표현한 것이 아닌가 싶다. 여기서 아이들은 열차가 움직이는 듯한 역할놀이를 한다. 이를 통해 교실이라는 장소는 생명력을 지닌 곳이며 함께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해 나가는, 철도 위를 달리는 열차와 같은 힘을 지니게 될 것이란 희망의 의미를 내포한다.

이 희망을 위해서는 교사(호리와 후시미)와 학부모(사오리)는 물론 학생들(미나토와 요리) 역시 대립하는 존재가 아닌 어떻게 하면 문제를 더 올바른 방향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는 동반자 같은 존재가 되어야 함을 작품은 보여준다. <아무도 모른다>, <어느 가족> 등을 통해 아동문제를 고민해 온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사카모토 유지의 시나리오를 연출하며 이런 문제의식을 더욱 깊게 파고 든다.

교육 문제를 방치하면 그 피해는 가정이, 그리고 사회가 짊어지게 될 것이란 점을 강조한다. 최근 국내 교육계는 교사들의 자살 문제와 주호민 사건으로 인해 교권하락 문제로 큰 홍역을 치렀다. <괴물>은 건강한 사회의 시작은 교육에서 온다는 점을,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모든 이들이 더 나은 방향을 위해 함께해야 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의성에 있어 최상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스크린은 물론 그 밖에서도 ‘괴물’이 누구인지 찾고 있던 우리에게 큰 깨달음을 주는 영화라 할 수 있다.

現 키노라이츠 편집장
前 씨네리와인드 편집장
前 루나글로벌스타 기자

    Leave Your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