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터를 켜라 #1 – 82년생 김지영
라이터를 켜라?
이 영화 봐도 좋을까? 평점 서비스 키노라이츠의 데이터와 관람객의 관람평, 그리고 키노라이츠 편집장의 시선으로 개봉작을 분석합니다. 그리고 이를 종합해 빨강, 노랑, 초록 불로 영화 관람을 추천해드립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스틸 (출처: 롯데엔터테인먼트)
제작 소식이 알려졌을 때부터 이렇게 양극화된 반응이 쏟아진 영화가 있었나 싶다. 한 편의 영화에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표현하는 경우는 잦았지만, 영화 제작에 찬반으로 대립했던 건 정말 특별한 일이다. 1982년생 여성의 시선으로 복원한 과거와 현재는 어디서 이런 대립을 만들었을까.
제작 소식이 알려졌을 때부터 이렇게 양극화된 반응이 쏟아진 영화가 있었나 싶다. 한 편의 영화에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표현하는 경우는 잦았지만, 영화 제작에 찬반으로 대립했던 건 정말 특별한 일이다. 1982년생 여성의 시선으로 복원한 과거와 현재는 어디서 이런 대립을 만들었을까.
#개봉 전 분위기
개봉 전 <82년생 김지영>은 키노라이츠 지수 87.5%를 기록하며 초록 불을 밝혔다. 영화를 관람한 키노라이터들은 ‘소설과 달리 일반화의 경향이 옅었고 그만큼 공감의 폭이 더 넓었다(김경원).’, ‘나의 이야기라서 화가 났고 우리의 이야기라서 슬펐다(선이)’, ‘시상식 시즌에 정유미의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을 거라 확신한다(양기자)’라는 의견을 남겼다.
#관람 포인트 – 그린 라이트
제작 발표 이후 모든 게 화제였던 <82년생 김지영>은 배우에게 쏟아진 관심도 컸다. <부산행>으로 천만 배우가 되고, 드라마 <도깨비>로 정점에 있던 공유가 ‘대현’ 역을 맡았다. <부산행> 등의 영화를 비롯해 드라마 드라마 <연애의 발견>과 <라이브>, 그리고 예능 <윤식당> 등 영역을 가리지 않고 활약하며 사랑받은 정유미가 ‘지영’을 연기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스틸 (출처: 롯데엔터테인먼트)
공유와 정유미는 <도가니>, <부산행>에 이어 영화에서 세 번째로 만났다. 덕분에 두 사람은 편하게 연기를 할 수 있었다고 하며, 이는 일상적이고 평범한 모습을 연기해야 했던 <82년생 김지영>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드라마 <도깨비>에서 비현실적인 모습을 보였던 공유는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일상 속에서 깊은 내면 연기를 보였고, 연기의 스펙트럼이 넓은 배우라는 걸 증명한다. 논란이 많았던 소설보다 영화가 공감의 폭이 넓어진 데엔 공유의 역할이 컸다.
김도영 감독의 연출도 인상적이다. <자유연기>, <낫씽> 등의 단편을 연출한 김도영 감독은 <내 아내의 모든 것>, <완득이>, 간신> 등 다양한 배우로 출연한 경험이 있다. 이는 연출에도 영향을 줬다. 김도영 감독은 카메라 앞에 섰던 경험 덕에 배우의 시선을 이해하고, 가장 편안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이에 공유는 ‘한 번도 갇혀있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없다’며 김도영 감독의 연출에 고마워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스틸 (출처: 롯데엔터테인먼트)
#관람포인트 – 레드 라이트
<82년생 김지영>은 80년대 여성의 시선으로 다시 쓴 현대사다. 당대의 여성이 겪은 많은 일과 느꼈던 감정이 한 인물에 집약되어 있다. 노동, 육아 등에서 상처받은 여성을 담는데, 이에 몇몇 관객은 영화를 성별 간의 대립적인 관점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런 적대적인 관점에서 관람하는 이들에겐 <82년생 김지영>은 가까워지기 힘든 영화다.
중립적 시선에서 영화를 관람한다 해도 시적 문제에서 볼 점들까지 미시적 문제로 풀었다는 비판도 있을 수 있다. 사회의 제도, 권력, 이념 등의 문제에서 풀어야 할 문제를 성별 간의 문제로만 표현했다는 의견도 있을 수 있다.
이런 시선의 문제는 특별한 것이 아니다. 한 예로, 천만 영화였던 <국제시장>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이 영화는 아버지의 시선으로 쓴 근현대사였고, 그 때문에 여성의 역할이 희미하고 기능적이었다. 이런 연출에 아쉬워했다면, <82년생 김지영>도 희미하고 기능적인 남성의 역할에 아쉬워할 수 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스틸 (출처: 롯데엔터테인먼트)
#함께 보면 좋을 영화 – <내 깡패 같은 애인>
공유와 정유미가 함께 출연한 <도가니>를 추천할 수 있지만, <82년생 김지영>을 더 재미있게 관람하는 데엔 <내 깡패 같은 애인>을 추천한다. 이 영화는 옆집에 사는 취준생 세진(정유미)과 깡패인 동철(박중훈)의 이야기를 다룬 코미디 드라마로 키노라이츠 지수 91.1%를 기록했다. 취업하기 위해 애쓰는 20대 정유미의 애잔함을 볼 수 있고, 이는 <82년생 김지영>에서 30대를 살아가는 모습과 오버랩된다. <내 깡패 같은 애인>과 <82년생 김지영>을 함께 관람하면 정유미의 얼굴로 여성 및 청년 세대의 삶을 두껍게 볼 기회가 있다.
영화 ‘내 깡패 같은 애인’ 스틸 (출처: (주)JK필름 )
#키노라이츠 예상 – 그린 라이트
한 여성의 시선으로 재구성한 사회의 모습에 당혹스러움과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걸어가기 위해서는 이 시선으로 세상을 본 영화도 필요한 시점이다. 많은 논란 속에서도 꿋꿋이 공감과 소통을 끌어내는 공유와 정유미의 연기가 인상적이다. 평소보다 힘을 뺀 두 사람의 연기는 가혹한 일상을 견디는 어떤 80년대 생의 모습을 대표하며, 그 일상적인 모습에 지금 우리에게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삶은 무엇인지 고민하게 한다. 지금 사회와 공명할 수 있는 흥미로운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