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연인을 잊지 못해 필름이 끊길 때까지 술을 마셔본 적이 있다. 한밤중 ‘자니’를 찾아본 적이 있다. 답장이 오지 않는 메신저에 보낸 메시지로 벽을 세워본 적이 있다. 그리고 이걸 매일 밤 반복해본 적이 있다. 이런 경험이 있다면, <가장 보통의 연애>는 그냥 넘기기 어려운 영화다.
영화엔 지질의 역사를 쓰는 재훈(김래원)과 이제는 연애의 역사를 거부하는 선영(공효진)이 있고, 둘은 신경전을 벌이며 로맨스와 코미디 사이를 줄타기한다. 두 사람은 실연의 상처가 있다. 그 고통을 각자의 방법으로 버티려 하지만 결국엔 술로 해답을 찾고, 종종 술로 흑역사를 만든다. 그렇게 그들은 기이한 역사를 써 내려가는 보통의 어른이다.
영화 ‘가장 보통의 연애’ 스틸 컷 (출처: (주)NEW)
<가장 보통의 연애>가 내세운 건 한 번쯤 겪어봤을, 혹은 한 번쯤 목격했을 연애담이다. 직접 겪은 이별은 너무도 아프고 특별하다. 하지만, 이 영화는 시간이 지나면 이것도 남들이 다 겪어본 보통의 연애와 이별이었다고 말한다. 내게는 특별했고, 그래서 몸부림쳤던 가엾은 순간이 타인에게는 수많은 진상 중 하나일 뿐이라고 말하는 그런 잔혹한 영화다
동시에 타인의 연애를 소비하는 인물과 집단도 조명한다. 실연한 자들은 한 세계가 무너질 만큼 아파서 몸부림치지만, 누군가는 이를 자양분 삼아 흥미로운 가십의 세계를 건설한다. <가장 보통의 연애>는 이것마저도 일반적이라 말한다. 그리고 보통의 집단에서 만든 보통의 소문이 가진 힘을 돌아보게 한다.
영화 ‘가장 보통의 연애’ 스틸 컷 (출처: (주)NEW)
흉흉한 소문 속에서 재훈과 선영은 결점투성이다. 헤어진 남자는 헤어질 만한 이유가 있는 남자였다. 그리고 헤어진 여자는 문제를 만든 문란한 여자였다. 누군가의 소문으로 소비될 때, 이별한 인물들은 연애를 못 할 만큼 부족한, 혹은 부도덕한 인물로 소비된다. 정작 이별은 많은 이들이 겪는 보통의 일임에도 말이다. 영화가 코믹하고 과장되게 표현한 몇몇 에피소드는 그런 식으로 보통의 잔인함을 되새기게 한다.
<가장 보통의 연애>는 <연애의 온도> 이후 모처럼 만난 현실적이고 재미있는 멜로 영화다. 멜로 드라마에서 실패한 적이 없는 공효진과 김래원의 연기도 영화 속 대사처럼 ‘딱 좋은데’, 익숙한 이미지가 반복되는 점이 아쉬울 수도 있다. 결국, 대중에게 익숙했던 보통의 이미지로 완성한 보통의 영화다. 이처럼 여러 가지로 ‘보통’인 영화지만, <가장 보통의 연애>는 현실이 환기되는 지점에서 익숙함과 서늘함을 느끼는 지점이 있다. 혹은, 그게 보통의 힘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