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Viewed

Categories

<이니셰린의 밴시> 아재들이 오늘부터 손절할 결심

<이니셰린의 밴시>는 마틴 맥도나 감독이 펼치는 관계의 시소 타기다. 그의 희곡을 영화화했으며 평범함도 비범하게 만들어내는 스토리텔러로의 재능을 확인할 수 있다. 예고 없이 우정을 끝내고 싶은 남자와 그 이유를 알고 싶어 고군분투하는 남자의 이야기다. 둘 사이는 우정으로 보이나 연인 관계로 바꿔 봐도 재미있다. 헤어짐을 선언한 쪽과 헤어짐을 받아들일 수 없는 팽팽한 기싸움 같다. 한쪽은 잘라버리고 싶어 하고 한쪽은 붙어 있고 싶어 집착한다.

오늘부터 헤어질 결심

아일랜드의 외딴섬 이니셰린의 소문난 절친 파우릭(콜린 파렐)과 콜름(브렌단 글리슨)의 사이가 틀어졌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갑자기 콜름이 파우릭에게 절교선언을 한 건데 이유를 알 수 없는 파우릭은 답답해 미칠 지경이다. 어김없이 오후 2시면 유일한 펍에서 맥주 한잔하며 수다를 즐기던 유명한 절친. 그날도 파우릭은 콜름 집에 들렀다. 펍에 가자며 문을 두드리는 파우릭을 유령처럼 무시하는 이상한 행동에 무엇이 잘못인지 곱씹어 본다.

어쩐지 이상하단 말이다. 뭘 잘 못했는지 생각나지도 않고 알 수도 없었던 파우릭은 대놓고 이유를 묻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싫어졌다”라는 차가운 말뿐이었다. 갑작스러운 절교를 받아들일 수 없던 파우릭은 화해를 위해 매일 콜름 앞을 서성인다.

하지만 풀어지기는커녕 오히려 악화되기만 한다. 더 이상 보지 말자던 말은 사실이었다. 참다못한 콜름은 속내를 드러낸다. 이제 남아 있는 일생을 예술에 쏟을 예정이라며 계속 말을 걸면 손가락 하나씩 잘라버리겠단 섬뜩한 경고를 한다. 예고도 없이 찾아온 흔들린 우정은 섬 전체의 엄청난 지진으로 확대되어 버린다.

배우들의 충격 변신이 즐겁다

콜린 파렐은 시골뜨기로 완벽히 변신했다. 한없이 쳐진 팔자 눈썹, 순박한 표정, 골똘한 미간, 상냥한 마음을 지닌 실제 아일랜드의 촌부처럼 느껴질 정도다. 일방적 손절을 시도한 브랜단 글리슨은 극단적이고 단호한 성격의 외골수를 연기해 서늘함을 북돋는다. 짧은 등장만으로도 압도적인 장악력을 가진 배리 케오간은 어수룩해 보이지만 저돌적인 등장으로 독보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아일랜드 섬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등장하는 모든 인물의 인간미가 살아 있다.

‘밴시’란 아일랜드 민화에 등장하는 정령이다. 죽음을 예언하기도 하고 인간 곁을 맴도는 도깨비 같은 존재다. 가상의 섬 이니셰린을 신화 속 장소처럼 만들어 1920년대 아일랜드 내전의 아픔을 연상케 한다. 이와 관련된 영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의 비극을 떠올려 볼 때 <이니셰린의 밴시>는 그나마 희극에 속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아일랜드 내전은 영국 독립 과정에서 두 파로 나뉘게 된다.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갈등하다 내전이 일어났다. 결국 어제의 동지가 내일의 적이 된 상황을 겪어왔다. 파우릭과 콜름의 갑작스러운 절연은 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의 은유이자 자국 역사와 신화까지 아우르는 통찰력의 결과다.

살면서 놓치고 있는 게 뭘까?

영화에 집중하다 보면 바쁘게 사느라 다정함을 외면하고 살아왔는지 돌아보게 된다. SNS가 발달해 친구는 많아졌지만 정작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는 좁아진 아이러니가 씁쓸함이 유발한다. 풍요 속의 빈곤, 수박 겉핥기의 우정, 얕고 넓은 관계가 사람 대 사람 사이를 가로막고 있다는 건 아닌지 곱씹어 보았다.

관계에도 연습이 필요하다.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는 말처럼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겨야 한다. 상처받고도 멀쩡하게 치유되는 사람은 드물다. 나답게 살아가면서 마음 훈련을 하다 보면 막연하게 타인에게 기대하고 혼자 상처받는 일은 줄어들지 않을까 싶다.

절교 해프닝은 파우릭에게 황당함 자체였겠지만 각각의 성장을 돕는다. 찐친을 잃은 대신 동생 시오반, 동네 바보 도미닉, 반려동물 제니를 얻는다. 그들과 시간을 보내면서 몰랐던 것, 알면서도 무시했던 것을 떠올리며 관계의 소중함을 재정립한다.

콜름도 오랜 세월 시시껄렁한 농담으로 보낸 시간을 정리하고 인생을 제대로 만끽하겠다고 선택한 것뿐이다. 지금이라도 삶의 지표를 알게 된 만큼 시간은 금이 되어 버린 것일지도 모른다. 그래서일까. 입꼬리가 살포시 올라가게 만드는 아일랜드 유머와 시니컬한 상황에 빠져들게 된다. 외로움, 단절, 슬픔, 분노 같은 어두운 면이 계속되는데 이상하게 따스함이 몰려든다.



    Leave Your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