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Viewed

Categories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부모의 얼굴을 비추는 자식이라는 거울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스틸컷 / (주)마인드마크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라고 한다. 자식을 보면 그 부모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는 말이다. 한 명의 인격체를 길러내는 학교교육과 함께 사회의 기본 단위인 가정의 중요성에서 강조되는 건 어른의 역할이다. 어른들이 감추려는 본모습은 두껍게 화장을 하고 화려하게 치장을 해도 자식이란 거울을 통해 투영이 된다.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는 학교 폭력을 저지른 아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 부모의 민낯을 보여주는 영화다.

명문 한음 국제중학교에서 한 학생이 혼수상태로 발견이 된다. 건우라는 이 학생은 담임교사 정욱한테 자신에게 학교폭력을 가한 네 반 친구의 이름이 적힌 편지를 남긴다. 학교 측은 가해학생의 부모들을 호출한다. 변호사 호창을 중심으로 학부모들은 이 사실을 은폐하고자 한다. 병원 이사장, 전직 경찰청장, 해당 학교 교사 등 권력과 재력을 지닌 이들은 자신들이 지닌 무기를 통해 자식들을 보호하는데 사활을 건다.

이들 학부모의 모습은 폭력의 대물림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보여준다. 병원 이사장은 자본 만능주의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가 지닌 막대한 재력은 저급하고 불쾌한 언행에도 주변의 환심을 사는 무기가 된다. 전직 경찰청장은 위선을 지닌다. 입으로는 바른 소리를 하지만 자신이 지닌 인맥을 동원해 사건을 은폐하려 한다. 여기에 교사는 학교 내부의 사정을 이용해 교장을 협박하고 정욱을 회유한다.

이들의 행동은 사회가 지닌 정의와 개인이 지닌 도덕성 차이의 딜레마를 통해 정당성을 부여한다. 이 정당성을 방패막이로 삼은 학부모들은 힘을 가진 이가 얼마나 잔인해질 수 있는지 보여준다. 마치 그들의 자식들이 행한 폭력처럼 말이다. 흥미로운 점은 학부모들의 행동이 점점 그들 자식과 닮아간다는 점이다. 집단으로 무리를 지어 약자를 지정하고 괴롭히는 건 물론 노골적인 폭력을 행사하는 단계에 이른다.

호창이 중심인물이 되는 이유는 이 폭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바로 침묵이다. 호창은 아들 한결과의 사이에 대화가 없다. 접견 변호사라는 그의 직업처럼 일방적인 소통에 익숙한 인물이기에 한결과 소통하려 들지 않는다. 이런 호창의 성향은 이 영화가 학교 폭력을 다룬 범죄물 임에도 쾌감을 자아내지 못하는 요소가 된다. 영화적인 카타르시스 보다는 사회 시스템의 병폐를 담아내고자 한다.

정욱의 양심고백으로 사건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호창은 한결을 지켜야 할 위치에 서게 된다. 이때 호창이 의지하는 건 자기 자신이다. 호창 역시 사회가 정해놓은 시스템과 주변에 도움을 호소해 보지만 학교폭력의 늪에 빠진 아이처럼 빠져나올 수 없다. 외침에도 답이 오지 않는다는 걸 아는 호창이기에 한결 역시 그 얼굴을 지니게 된다. 때문에 작품의 결말 역시 침묵과도 같은 묵직한 답답함으로 매듭을 짓는다.

학교폭력을 소재로 한 작품에서 보여줄 수 있는 클리셰와 극적인 반전을 담고 있음에도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가 특별한 이유는 주제의식이 지닌 딜레마에 있다. 이 딜레마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윤리적 문제에서 한 발자국을 더 나아간다. 학교에서 배우는 정의와 공정과 거리가 먼 세상의 진리를 경험한 어른들이 어떻게 자기 자식들에게 다른 가치를 추구하라 가르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다.

이 주제는 제목과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 어린 시절부터 부모를 통해 사회의 모습을 배우는 아이들은 그 얼굴을 닮아가기 마련이다. 부모는 긍정적인 옆얼굴만 닮아가길 바라겠지만 자식은 거울처럼 그 전부를 비춘다. 호창과 한결이 성향에 있어 같은 지점을 지녔다는 점에서 각 가해학생과 그 부모 사이의 연관성을 조금은 연하게 비춰준 점, 호창을 제외한 다른 가해부모의 경우 과장된 캐릭터성을 보인다는 점은 약간의 아쉬움으로 남는다.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는 <화차>에 이어 일본원작 콘텐츠를 성공적으로 국내에 영화화한 쾌거를 이룬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윤리적인 딜레마에 용두사미가 될 수 있는 권선징악 대신 풀리지 않는 물음표를 남겨두며 부모와 학생 모두에게 숙제를 남긴다. 특히 설경구는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호창의 표정들을 하나씩 만들어 나가며 마지막에 그 얼굴을 완성시킨다. 그의 연기만으로 전율을 느낄 수 있는 영화라 할 수 있다.

現 키노라이츠 편집장
前 씨네리와인드 편집장
前 루나글로벌스타 기자

    Leave Your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